메뉴 건너뛰기

지팡이교회

신앙 칼럼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 성탄 및 절기에 관하여>

1. 나는 개인적으로 강동구에 있는 모교회에서 담임목회를 할 때 성도들에게 들었던 가장 큰 불만 중에 하나가 절기를 지키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수십 년의 역사를 가진 교회이기에 부활절과 성탄절을 없앨 수는 없었지만, 그 외의 절기는 거의 지키지 않았다. 성탄절과 부활절도 그 전에 해왔던 규모에 비해서는 축소되었는데, 그 이유는 내가 그 날을 특별하게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저 교회에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로 내가 해야 할 것(설교) 정도만 준비했다. 나머지는 성도들이 알아서...

2. 그래서 종종 열심이 특심하고 교회를 사랑하는 성도들로부터 절기 헌금봉투를 나눠주지 않아서 혹은 당일에 나눠줘서 헌금을 못한다는 불평(?)을 들었다. 그만큼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았다. 절기도 헌금도... 그 때마다 헌금은 교회에서 하라고 그 전 주에 나눠줘야만 할 수 있는 건가?하는 의문이 들었고, 성도들의 신앙이라는 것이 그만큼 교회, 혹은 목사에게 의존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이렇게 절기와 절기헌금을 강조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서 성도들이 더욱 자율적으로 신앙생활 하도록 도와야 겠다는 결심을 했었다.

3. 이제 성탄절이 다가 온다. 내가 사랑하는 개혁신학, 그리고 함께 하는 형제들 중에는 절기에 대한 비판이 심심찮게 올라온다. 한국교회에서 절기를 없애야 하고, 거기에는 성탄도 포함된다는 것이다. 개혁신학의 역사는 그래왔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16, 17세기의 예를 들곤 한다. 물론 나는 그 시대 개혁신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잘 알고 있다.

4. 나는 그들의 견해에 동의한다. 내가 만약 16,7세기를 살았더라면 분명히 절기를 없앴을 것이다. 하지만 21세기를 살아가는 나는 성탄과 부활절과 같이 한국 신앙인들의 가슴에 깊이 새겨진 절기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물론 절기를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5.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 이 문구는 17세기 네델란드 Nadere Reformatie의 신학자였던 요도쿠스 판 로덴슈탄인이 처음으로 사용한 문구다. 이 문구의 정확한 의미는 “(진리 혹은 교리가 온전히) 개혁된 교회는, (세월이 흘러 각 시대의 문화와 사상의 흐름 속에서 개혁된 교리 혹은 진리에 따라 실천도)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어떤 이들의 생각처럼 시대에 따라 교리도 변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6. 16,17세기 우리 개혁신학의 조상들이 가장 강조했던 것은 무엇인가? 바로 하나님의 말씀이다. 그리고 그 말씀 속에 있는 진리, 혹은 개혁된 교리이다. 이들은 이 진리를 지키기를 원했다. 이 진리대로, 말씀이 가르치는 원리대로 세상이 되어져 가기를 원했던 것이다. 교회의 정치도, 예배도, 가정도, 회사도, 사회도, 국가도....

7. 그렇다면 그들은 왜 절기를 지키지 않도록 했을까? 바로 하나님의 말씀과 그 말씀이 말하는 진리를 보호하기 위해서다. 서양사회에서 천년에 걸친 로마카톨릭 신앙 속에는 비진리가 너무나 많았다. 혹은 비진리로 성도들을 인도하는 외적인 요소들이 너무나 많았다. 그래서 개혁자들과 특히 청교도들은 그 외적인 요소들을 바로 잡기를 원했던 것이다. 왜냐하면 외적인 요소는 사람들의 내면의 요소와 무관한 것이 아니어서 이 때문에 성도들이 진리에서 떠나게 되는 위험이 너무나 컸기 때문이다.

8. 그 중에 하나가 교회 안에 있는 성상과 그림과 같은 요소였다. 그래서 청교도들은 그런 것들을 치웠던 것이다. 그래야 성도들이 하나님의 말씀과 그 말씀이 가르치는 진리에 더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야 하나님에 대한 참된 지식을 더 많이 가질 수 있기 때문이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보이지 않는 분이시기에 시각적인 분이 아니신데, 무지한 신자들로 하여금 하나님을 더 알게 한다는 명목하에 그림과 성상을 교회에 가득 채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점점 더 교회로 하여금 말씀을 가르치는 일을 게을리 하였고, 성도들에게 보이지 않는 하나님이 아니라 보이는 하나님을 바라보도록 했기 때문에 마땅히 치웠어야 했다.

9. 오늘날 다시 교회의 예배당은 점점 더 아름다워지고 있다. 온갖 장식과 문구가 교회를 가득 채운다. 화려한 인테리어와 조명과 꽃들이 교회를 꾸민다. 물론 이런 것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진리를 깨닫기에 도움이 된다며 얼마든지 허용 가능하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치워야 한다. 중요한 것은 교회를 치우느냐 꾸미느냐가 아니다. 어느 것이 성도들로 하여금 더욱 진리의 말씀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느냐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을 더욱 참되게 가르치느냐에 어떤 것이 더 도움이 되느냐는 것이다. 이렇게 우리의 외적인 행위에는 반드시 신학적인 기반이 있어야 한다.

9. 절기도 마찬가지다. 16,17세기 개혁파 선조들이 절기를 금지한 것은 그것이 성도들의 신앙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아니 해가 되었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모든 시간과 모든 날의 주인이시며, 우리는 삶 자체가 하나님을 향한 예배여야 한다. 이것이 성경이 우리에게 가르치는 진리이다. 하지만 로마카톨릭은 거룩한 날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성속을 구분하였다. 그렇게 되면 거룩한 절기는 특별한 주님의 날이지만, 그 외의 날은 우리의 날, 인간의 날이 된다. 그러므로 이 구분을 없애는 것은 당시 성도들의 신앙적인 패러다임을 바꾸는 일에 있어서 필연적인 것이었다. 절기를 없애지 않고서는 하나님이 우리의 모든 날의 주인이시며, 모든 날이 거룩한 날이라는 생각을 가지도록 하기가 너무나 어려웠기 때문이다.

10. 이제 우리는 더 이상 16,7세기를 살지 않는다. 우리의 환경과 형편은 많이 바뀌었다. 물론 그 때와 비슷한 점도 많고, 어쩌면 중세보다 더 중세스러운 모습도 한국교회 안에 많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말한 원리는 변하지 않는다. 개혁된 진리를 가진 교회는 그 시대의 상황 속에서 그 진리에 따른 개혁된 실천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21세기를 살아가는 개혁교회가 16,7세기 개혁교회의 모든 것을 따라해야 한다는 말이 아니다.

11. 물론 그들에게 배울 것이 너무나 많다. 인간의 본성이 변하지 않기에 상당히 많은 부분은 그들의 방식을 따르는 것이 안전한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대적인 것은 없다. 왜냐하면 위대한 우리의 선조들은 그 시대에 맞춰서 개혁된 교회를 이루었고 그 시대에 맞춰서 개혁된 실천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12. 그렇다면 절기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나는 루터가 말했던 개신교회의 원리로 돌아가기를 바란다. 보름스 회의에서 루터는 하나님의 말씀과 인간의 양심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했다. 무엇이 옳은지 옳지 않은지 선택하는데 있어서 최종적인 권위는 하나님의 말씀이어야 한다. 개혁파 신조도 칼빈도 누구도 아니다. 물론 하나님의 말씀의 의미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신조와 칼빈과 같은 위대한 인물들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은 말할 수 없이 중요하다. 대개의 경우 그들의 견해가 맞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종적인 권위는 하나님의 말씀이어야 하지, 칼빈의 말이기 때문이어서는 안 된다. 물론 칼빈을 통해서 하나님의 말씀이 가르치는 바가 무엇인지 깨닫는 것은 좋은 일이다. 그러나 이 때 그 결정을 한 이유는 바로 성경이 가르치는 바이기 때문이라고 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이는 바로 하나님의 말씀에 매인 나의 양심이다.

13. 쉽게 말하면, “칼빈이 말하기 때문에 진리다”가 아니라 “칼빈이 해석한 것이 가장 성경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과 가깝다고 내 양심이 말하기 때문에 나는 그것을 선택한다”고 말해야 한다. 결국 하나님의 말씀과 내 양심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신조나 칼빈이나 청교도는 모두 이 과정에서 하나님의 뜻을 내 양심이 분별하는데 필요한 수단일 뿐이다.

14. 절기를 어떻게 해야 할까? 16,7세기와 오늘날 교회와 성도들의 영적인 상태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절기를 지키는 것과 지키지 않는 것 중에 어떤 것이 지금 성도들의 상태에서 진리를 알고 깨닫는데 유익할까를 고민해야 한다. 절기를 지키는 것이 어떤 면에서 성도들에게 해악이 될까를 고민해야 한다. 또한 절기를 지키지 않으면 무슨 유익이 있는가? 혹시 지나치게 교조주의에 빠지게 될 염려는 없는가?도 고민해야 한다.

15. 그리고 만약에 절기를 지킨다면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 개혁자들이 말한 절기를 지키는 것과 오늘날 개신교회가 지키는 절기는 교회마다 그 의미가 전혀 다를 수 있다. 어떤 교회는 그저 그날 모여서 그리스도의 부활을 다시 한 번 묵상하는 기회를 삼을 수도 있고, 어떤 교회는 성탄예배를 드리면서 구세주의 성육신이 주는 의미를 서로 되새기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내가 4년간 정식 회원으로 다녔던 미국 그랜드 래피즈의 Heritage Reformed Congregation(조엘 비키 목사님 시무)는 부활절 이틀전 금요일 저녁에 Good Friday Service를 드렸다. 물론 성탄절에도 예배를 드렸다. 심지어 12월 31일 저녁에는 New Year’s Eve Service도 드린다. 이 때 한 해동안 소천하신 분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부르면서 인생이 얼마나 짧고 덧없는지, 우리가 왜 영원한 나라를 소망해야 하는지 되새기는 기회로 삼는다. 개인적으로 그들과 함께 이런 예배를 드리면서 내 영혼에 해가 된다고 생각한 적이 없다. 내가 목회를 해도 이런 방식은 유익하다고 믿기에 한국에서도 일부 시도했었다. 중요한 것은 본질을 얼마나 세우느냐 어떻게 지키느냐이지 지키느냐 마느냐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16. 나는 이 원리가 절기 뿐만 아니라 교회의 모든 요소에 적용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특히 목사를 비롯한 교회의 직분자들은 진리 위에 분명하게 서야 한다. 이를 위해 성경을 알아야 한다(성경). 그리고 성경이 가르치는 진리, 가장 성경적이라고 개인적으로 믿는 개혁신학에 능통해야 한다(교리). 그리고 우리 조상들이 그 진리를 그 시대에 어떻게 적용했는지 알아야 한다(교회사). 그리고 우리 시대의 문화와 교회의 형편을 알아야 한다. 성도들의 영적인 상태에 대해서 살펴야 한다. 이런 것이 선행되어야 우리는 교회의 외적인 요소에 대한 가장 성경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의 양심을 깨워놔야 한다. 그리고 이 모든 것 위에 하나님의 은혜와 성령의 인도하심과 조명을 구해야 한다.

17. 마지막으로 나는 한국개혁교회가 기계적인 방식으로 16,7세기로 돌아가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교리적으로는 돌아가야 한다. 하지만 실천적인 면에서 그들은 아주 귀중한 참고서이지 모든 시대가 따라야 할 완전한 모델은 아니다. 그들은 그 시대에서 고민했던 사람들이다. 이제 우리는 우리 시대에 같은 원리를 가지고 고민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의 정신을 구현할 수 없다. 교리적으로 개혁된 교회는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실천에 있어서 개혁되어야 한다.

<혹 제 글에 다 동의하지 못하는 분들도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이 글의 핵심은 그러니까 우리 마음대로 해도 된다거나 신앙의 선조들을 무시하자는 것이 절대로 아닙니다. 저는 누구보다 그들을 따라하고 싶고, 그들의 모델을 소중히 여기는 사람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나친 자유방임주의도 당연히 경계해야 하지만 그 반대의 오류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이자는 것입니다. 자칫 잘못하면 그들과 비교하여 다른 모든 것을 비판하는 우에 혹시 빠지 않도록 환기하고자 하는 것이니 그렇게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 성탄 및 절기에 관하여- 김효남 목사 전은덕 2020.12.25 3935
66 고 이동섬 목사님을 생각하면서 마음이 생각하는 글.......................... 전은덕 2016.08.27 2330
65 성만찬에서 어떤 떡을 사용할 것인가? 이남규 교수(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전은덕 2019.05.13 1602
64 [회개에 대한 교리설교, 이렇게 한다] 전은덕 2016.08.28 1301
63 "축원합니다"는 성경적인가? 전은덕 2016.08.19 1193
62 교회다운 교회가 되려면.......강상수 목사님 전은덕 2016.11.15 858
61 참된 그리스도인의 표지? - 언약교회 박주동 목사 전은덕 2016.08.22 853
60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역사와 주요한 특징들 전은덕 2019.10.16 782
59 옥한흠 목사, '열심과 바른 교리가 있어도 타락할 수 있다' 전은덕 2016.11.11 768
58 조미료 복음과 말씀의 종- 성서계명교회 최동규 목사님의 글 전은덕 2016.12.13 747
57 나는 무엇을 믿는가? 전은덕 2017.11.28 642
56 하나님 나라와 교회 전은덕 2016.08.19 625
55 故 최일환 목사의 별세를 애도하며 전은덕 2016.08.23 576
54 성탄절의 진정한 의미 전은덕 2017.12.25 572
53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의 간략한 역사 전은덕 2016.09.27 550
52 코로나 19로 인해 많은 교회가 어려움을 격고 있는 가운데 글을 올립니다. 전은덕 2020.08.25 489
51 만인이 기도하는 집을 강도의 소굴로 만들어 버린 명성을 개탄하며.... 전은덕 2017.11.15 489
50 보편적인 교회를 이루기 원하면.... 전은덕 2016.09.18 475
49 충동성 있는 삶의 '회개' 전은덕 2016.08.19 457
48 휴가를 보내면서도 교회를 생각하는 마음의 글........... 전은덕 2016.08.19 45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위로